Upgrade Project
August 18, 2024
현재 재직중인 회사의 프로젝트는 거대한은 아니고 큰 monorepo 로 이뤄져 있으며
root 의 package.json 에 각 모듈이 사용하는 모든 package 들이 정의되어 있다.
이렇게 singleVersionPolicy
를 사용하게 되면 각 모듈이 별도의 버전을 가지는 것에 비해
내부 모든 코드가 호환되고 일관성이 생기며, 특정 package 를 업데이트 할때 전체 모듈에게
한번에 배송된다는 장점이 있다.
monorepo 구조의 개발과 배포에 대한 부담감을 상당히 줄여주는 package 중 하나는
turborepo
또는 nx
가 있겠다.
이는 많은 수의 개별 모듈을 만들고 실행할때 명령어들을 하나로 압축하여
한번에 관리 할수 있는 아주 편리한 기능을 제공해주며, caching 으로 인해 시간의 손실을
현격히 줄여준다.
또 하나로 흔히 말하는 micro frontend
구조를 위해 module federation (mfe)
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모듈의 변경사항을 적용할때 각모듈을 이어주고 런타임에서
적용시켜주는 아주 고마운 기능을 제공해준다.
위 2가지 핵심기술과 나머지 도구들을 조합하여 몇년전부터 계속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나는 슬슬 속도에 불만이 생기기 시작했다. 🤔
우리는 shared
한 기능을 수정하거나 internal package
가 변경될때
모든 모듈을 다시 build
하고 배포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게 되는데
현재 모듈이 약 40개 가까이 만들어져 있으므로 CI 에서 속도가 점점 느려지기 시작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각 CI 단계에서 실행되는 명령어중 속도를 올릴수 있는 도구로
변경해 보기로 했다.
lint
eslint 는 역사가 깊고, 커스텀할 수 있는 영역이 굉장히 많아 대부분의 개발자가 사용하는
범용적인 linter 이다.
사실 lint 자체의 속도는 그렇게 큰 이슈가 되지 않았지만 가장먼저 만만해 보이는 lint 먼저
rust 기반의 oxlint
로 변경했다.
확실히 변경 후 속도가 10초 이상을 가는 적이 없을 정도로 효과가 어마어마 했다.
oxlint
로 변경할때 eslint
의 구성을 가져다 쓸수도 있고, 자체적으로 왠만한 범용규칙은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경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었다.
tsc
우리는 pr 이든 push 든 모든 부분에서 noEmit
상태로 tsc
를 실행한다.
다만 tsc
의 속도는 발전했다고는 하나 아직 여전히 느리다. 내생각에는.
CI 에서 다른 부분의 속도가 빨라지게 되니 tsc 의 시간이 차지하는 지분이 점점 많아졌다.
이미 2020년에 noEmit
상태에서 incremental
의 옵션을 적용 가능 하기 때문에
CI 에서 해당 옵션을 적용할 수 있도록 caching 을 손보기 시작했다.
적용 후 어느정도 빨라지긴 했지만 아직은 만족할 수 없다.
이제 rust 기반의 툴에 익숙해진 탓이다.
webpack
이외에 다른 부분도 자잘하게 변경하여 시간의 손실을 조금씩 막았지만, webpack
의
빌드 부분은 최적화를 하고 또 해도 한계가 있어보였다.
기능 구조를 바꾸고 모듈을 더 쪼개고 각 모듈이 적은 코드를 가질 수 있도록 변경해도
속도에 대해서는 그렇게 큰 이점을 얻지 못했다.
webpack
의 최적화는 속도보다 최종 결과물의 용량에 대해 더 관여하는 느낌이었다.
그래서 결국 이전부터 눈여겨보던 rspack
으로의 변경을 시도했다.
때마침 rspack
에서 1.0.0 alpha, beta
버전이 출시 되기 시작했다.
변경하기 전에
특정 패키지를 변경할때 뿐만 아니라 기능을 변경하거나 추가할때, 어쨌든 하위호환이 가능하도록
유지하고 점진적으로 프로젝트를 변경해야 한다.
번들러가 변경된다고 내부 코드에서 특정 무언가를 변경하는 경우가 없도록 해야 한다.
이 점을 최대한 유의하며 작업을 시작했다.
webpack plugin
번들러 변경시 첫번째로 걱정된점은
우리는 tailwindcss
를 주력으로 사용중이며, module 간 tailwind 의 treeshaking 으로
만들어진 css 정의가 중복되면 안되고, css cascade
에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만들어야 했다.
이를 위해 별도의 webpack plugin
을 자체적으로 만들어 각 모듈이 build 될때
module의 이름이 prefix
로 담긴 css 파일
과 className
을 만들어 주도록 했다.
다행히 rspack
에서는 기존 webpack 의 plugin 과 호환성을 가지도록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
특별히 해당 plugin 을 변경 할 필요는 없었다.
module federation
webpack
과 rspack
에서 빌드된 파일들이 기존 프로젝트에서 서로 호환이 유지되어야 했다.
module federation core
팀은 번들러에 내장된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module federation runtime
으로 새롭게 분리하여 특정 번들어에 종속되지 않고
federation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래서 먼저 module federation runtime
을 활용하여 federation 의 역활과
번들러의 역활을 명확하게 나누어 새로운 구조를 만들었다.
이제 webpack
으로 빌드를 하던, vite
, rspack
으로 빌드를 하던 mfe 는 그에 상관없이
runtime
에 remote 와 host 가 잘 통합된다.
module federation plugin
mfe 가 별도의 라이브러리로 분리되면서 기존에 있던 불편한점이 많이 사라졌다.
예를 들면 dynamic remote load
를 할때 new promise
를 사용하는 짜치는 방법에서
이제는 runtime 에 포함된 기능으로 간단히 구현이 가능한다.
분리되면서 federation 의 기능을 좀더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많이 생겼다.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해보자.
이번에 구조를 바꾸면서 공통적으로 사용 할 2가지 plugin
을 추가 했는데,
첫번째는 기존 webpack 의 plugin 으로 사용하던 external remote plugin
을
mfe 의 plugin 으로 옮겨서 적용했다.
import { FederationRuntimePlugin } from "@module-federation/enhanced/runtime"
function externalRemoteLoadPlugin(): FederationRuntimePlugin {
return {
name: "external-remote-load-plugin",
beforeRequest: args => {
const { options, id } = args
const remoteName = id.split("/").shift()
const remote = options.remotes.find(remote => remote.name === remoteName)
if (!remote) {
return args
}
// @ts-ignore
if (remote?.entry?.includes("?t=")) {
return args
}
// @ts-ignore
remote.entry = `${remote?.entry}?t=${Date.now()}`
return args
},
}
}
이러면 remoteEntry.js
파일에대해 cache busting
을 plugin 없이 적용 가능하다.
manifest.json
파일을 사용 할 경우 추가 코드가 필요하지만 맥락은 같다.
또 다른 하나는 hmr
과 react-dom
와 관련된 부분이다.
기존에 local 에서 특정 host 와 remote 를 연결해서 개발할때 자체적으로 만든 명령어를
사용하여 각 모듈을 개발 서버로 띄워서 hmr 기능을 활용하도록 만들었다.
다만 react
에서 context
의 공유 문제나 특정 모듈이 먼저 로드 될때 (=design-system)
shared 로 설정된 react
와 react-dom
를 어떤 모듈에서 가져와 사용할지에 대해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
아마 shared
에 대한 설정이 기본적으로 version-first
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마지막에 load 한 모듈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이 된다.
그렇다고 미리 가져온 shared 모듈을 다시 불러온다는 뜻은 아니다.
출처만 변경 된다는 것이다.
왠만한 경우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또는 eager 를 사용하면 해결은 된다.)
다만 eager 옵션의 사용은 최대한 자제
하고, 강제적으로 현재 host
에서
react
와 react-dom
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두개의 package 는
host 에서 가져오도록 강제하는 plugin 을 추가 했다.
이는 local 에서 개발할때 hmr 적용 시 host
의 react-dom
을 사용하도록 만들고,
배포 된 후에는 최상위 root
의 host
모듈에서 react
와 react-dom
을 가져가도록 한다.
resolveShare(args) {
if (args.pkgName !== 'react' && args.pkgName !== 'react-dom') {
return args;
}
const {
shareScopeMap,
scope,
pkgName,
version,
GlobalFederation } = args;
const host = GlobalFederation['__INSTANCES__'][0];
if (!host) {
return args;
}
args.resolver = function () {
const hostScope = Array.isArray(host.options.shared[pkgName])
? host.options.shared[pkgName][0]
: host.options.shared[pkgName];
if (hostScope) {
shareScopeMap[scope][pkgName][version] = hostScope;
}
return shareScopeMap[scope][pkgName][version];
};
return args;
},
plugin 의 interface 중 resolveShare
에서 공유 모듈을 어떤식으로 지정할지에 대한
정의를 해주었다.
위 plugin 의 기능은 SPA 에서는 없어도 잘 돌아갈수 있으나 일종의 보험 같은 것이다.
나머지 remote load
에 대한 에러처리
와 초기화
와 관련해서 몇가지를 더 추가해서
federation 이 잘 돌아갈수 있도록 안정성을 높여두었다.
module federation dts
이번 federation 설정에서 자체적으로 remote 의 ts type
을 생성해주는
기능을 포함해서 나왔다. 이전에는 분리되어 있던 plugin 이지만 요즘엔 ts 를 안쓰는 프로젝트를
찾는게 더 힘드니 당연히 포함되서 나온 듯 하다.
해당 기능으로 인해 remote 로 가져오는 모듈에 대해 ts 의 자동완성 기능을 더 잘 활용할수
있고 자체적으로 d.ts 를 만들 필요가 없어졌다.
다만 dev
옵션이라고 개발중에 실시간으로 tstype
을 생성해주는 기능이 있는데
현재 매우 느리기 때문에 사용을 비추
한다.
rspack
rspack
으로의 전환은 그렇게 큰 문제는 있지 않았다.
rspack 에서 webpack 과의 호환성을 워낙 잘 맞춰둔 것도 있고
webpack 에서 했던 여러 설정들이 하나로 합쳐진 부분도 있고 해서 더 간소화 시킬 수 있었다.
주요 변경점은 csslodaer
의 사용변경과 기존에는 esbuild
로 빌드하고
swc
로 polyfill
을 넣어 주고 있었는데 이제는 swc
로 통일 되었다는 점?
나머지 짜잘한 설정들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조금씩 수정하여 모든 모듈을 빌드 버전으로
local 에서 테스트 한뒤 전환을 하였다.
아마 webpack 관련 설정은 안정화 되면 약 1개월 뒤 삭제 될 것이다.
rspack
으로 전환 후 결과적으로 빌드 속도가 3배는 빨라진듯하다. 붉은혜성
같다.
추가 변경
그외 회사 자체 lib 를 모아둘 패키지를 만들어 버전 관리를 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추후 오픈소스로 내보낼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폴더구조나 명령어삭제,추가 등 조금더 개발을 빠르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변경을 조금 하였다.
중요한점은
변경된 구조와 package 가 적용되는 도중에도
누구도 현재 개발작업에 방해를 받지 않았고
변경된 후에도 이전과 같은 명령어로 똑같이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변경된 후 구조나 변경점에 대해 설명은 하였다.
포인트는 이렇게 대규모 변경을 할때도 하위호환을 유지하는 것
과
breaking change 를 최대한 줄이는게 아주 중요
하다는 것이다.
인원이 많고 연구할 시간이 많은 대기업에서는 모르겠지만,
빠르게 움직여야 하는 기업이나 팀에서는 기존 작업에서 오류가 생기거나
작업에 방해되는 부분이 생기면 많은 부분에서 손실이 클 수 있다.
어쩔수 없는 부분이 생길수도 있지만 잘 생각해보면 방법은 있을 것이다.🤡
회고
프로젝트 업그레이드 회고 인데 module federation 에 대한 설명이 많은 것 같다.
그만큼 현재 fe 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기능이기도 해서 그런듯.
더 설명하고 싶은 부분이 많지만 너무 글이 길어질 것 같아서 피곤해서 끝
궁금점이나 논의 하고 싶은 부분은 언제든지 문의 주길 바란다.